
사라져가는 지역 언어를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어린 세대부터 자연스럽게 교육하는 것입니다. 제주도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초등학생 대상 제주 사투리 교육 콘텐츠가 제작되고, 실제 수업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주 사투리를 활용한 초등학생 교육 콘텐츠의 실제 사례와 그로 인한 효과를 살펴보며, 지역 언어 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함께 고민해보겠습니다.
1. 제주어 교육, 왜 초등학생에게 중요한가?
- 언어 감수성 형성 시기: 초등 시절은 언어 습득 능력이 뛰어나고, 다양한 표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음
- 지역 정체성 형성: 자신의 고장 언어를 이해함으로써 지역 문화에 대한 자긍심 고취
- 세대 간 공감 능력 향상: 할머니·할아버지와의 소통을 통해 가족 관계 강화
따라서 제주어 교육은 단순한 언어 학습을 넘어서 정서 교육, 인성 교육으로도 확장될 수 있습니다.
2. 제주 사투리 초등 교육 콘텐츠 유형
① 교과 연계 수업자료
- 제주어 낱말 카드: 표준어와 제주어를 나란히 배치해 단어 학습
- 제주어 동요 부르기: 기존 동요를 제주어 가사로 개사해 부르며 재미있게 습득
- 제주 전래동화 읽기: ‘하르방 이야기’ 등 제주어 기반 전래동화 수업
② 디지털 콘텐츠
- 제주어 애니메이션: 간단한 스토리와 함께 말 배우기 (예: “혼저 혼저 탐험대”)
- 제주어 퀴즈 게임: 웹 기반 게임으로 단어 맞추기, 문장 완성하기
- AR/VR 체험 콘텐츠: 제주 전통 마을에서 NPC와 제주어로 대화하는 가상 체험
③ 체험형 교육
- 제주어 역할극: 시장 상인과 손님 역할극, 가족 대화 재현 등
- 현장학습 연계: 민속촌, 오일장 방문 후 제주어 인터뷰 활동
이러한 콘텐츠는 아이들에게 놀이처럼 재미있게 제주어를 익히게 해주며, 자연스럽게 지역 문화에 스며들게 합니다.
3. 실제 교육 사례 소개
① 서귀포 ○○초등학교 – ‘제주어 주간 프로젝트’
- 기간: 1주일 동안 아침 조회, 교과 수업, 점심시간 방송 등에서 제주어 집중 사용
- 활동: 제주어 일기 쓰기, 할머니께 편지 쓰기(제주어 표현 사용), 제주어 말하기 대회
- 결과: 학생 83%가 “제주어가 재미있고, 집에서도 써보고 싶다”고 응답
② 제주어 융합교육 프로그램 – 도교육청 지원
- 형식: 방과후 수업 + 지역 작가와의 만남 + 제주어 공연 관람
- 내용: 제주어 시쓰기, 그림일기 쓰기, 가족과의 제주어 인터뷰
- 성과: 발표력 향상 및 지역어 자긍심 증대
4. 교육 효과 분석
| 영역 | 교육 효과 | 학생 반응 |
|---|---|---|
| 언어 습득 | 기본 단어와 인사말 습득 용이, 억양 모방 자연스러움 | “제주어로 인사하는 게 재밌어요” |
| 정서 발달 | 할머니·할아버지와 대화 시 친밀감 향상 | “할머니가 웃으셔서 기뻤어요” |
| 문화 이해 | 제주 전통과 연결된 말의 의미 이해 | “왜 ‘혼저 옵서예’라고 하는지 알았어요” |
| 자기 표현 | 말하기·쓰기 활동을 통해 창의력 향상 | “내가 만든 제주어 시를 발표했어요” |
5. 교육자로서 고려할 점
- 표준어 병행 설명: 아이들이 제주어와 표준어 차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병행 설명 필수
- 억양·발음 지도: 제주어는 억양이 핵심이므로 교사와 지역 어르신의 협업 권장
- 놀이 중심 수업: 말하기·노래하기·연극 등 적극적인 활동 중심 수업이 효과적
- 가정과 연계: 부모도 함께 제주어를 익힐 수 있도록 가정 학습자료 제공
이러한 배려는 제주어 교육의 지속성과 참여도를 높이는 핵심입니다.
마무리 정리
제주 사투리는 단순한 말이 아니라, 제주의 삶과 감성이 담긴 문화 자산입니다. 초등학생 시기에 제주어를 접하는 것은 단지 언어를 배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자기 고장의 언어를 이해하는 아이는 그 지역을 더욱 사랑하게 되고, 세대와 문화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지금 제주어를 가르치는 일은, 미래의 제주 문화를 지키는 일입니다. 하영 웃으멍, 제주말 배워보게 마씸~